본문 바로가기
대학관련 정보

사회체육학과: 스포츠와 사회의 융합을 향한 학문적 탐구

by 달리는 감자 2023. 5. 26.

 1. 사회체육학과 소개

 국민의 삶에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대한 올바른 길잡이를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건강한 스포츠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서 최고의 전문성을 함양한 체육지도자를 양성하고, 스포츠를 통한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하여 시대의 변화를 예측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스포츠관리자를 육성하며,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서 스포츠의 학문적 발전에 공헌 수 있는 유능한 스포츠과학자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2. 사회체육학과의 교육과정 (한국체육대학교 기준)

 

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 

1학년 1학기에는 사회체육개론 과목을 이수합니다. 이 과목은 사회체육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해를 다룹니다. 또한 등산캠핑(계절)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계절 수업으로 등산과 캠핑에 대한 실전 경험을 제공합니다.

 

1학년 2학기에는 스키 2(계절)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계절 수업으로 스키에 대한 기술을 학습합니다.

 

2학년 1학기에는 스포츠정책론 과목을 이수합니다. 이는 스포츠 정책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룹니다. 또한, 수상인명구조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실기와 실험을 통해 수상인명구조 기술을 학습합니다.

 

그리고, 스쿠버다이빙1(계절)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계절 수업으로 스쿠버다이빙에 대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합니다.

 

2학년 2학기에는 사회체육프로그램 과목을 이수합니다. 이는 사회체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대해 학습합니다.

또한, 사회체육시설관리학과 스포츠문화콘텐츠개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 두 과목은 사회체육 시설 관리와 스포츠 문화 콘텐츠 개발에 대해 학습합니다.

 

3학년 1학기에는 스포츠미디어론과 스포츠산업론(3)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스포츠미디어론 과목은 스포츠와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스포츠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다룹니다. 스포츠산업론(3) 과목은 스포츠 산업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며, 스포츠 경제, 스포츠 마케팅, 스포츠 이벤트 등을 학습합니다

 

. 3학년 1학기에는 또한 사회체육과노인운동관리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실기와 실험을 통해 사회체육과 노인 운동의 관리와 지도에 대해 학습합니다.

 

3학년 2학기에는 사회체육지도론과 빅데이터와 스포츠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사회체육의 지도 이론과 방법론, 그리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 데이터 분석에 대해 학습합니다. 또한 사회체육행정과 스포츠외교론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사회체육의 행정과 스포츠 외교에 대해 학습합니다.

 

4학년 1학기에는 대학원연계수업 자연과학 1과 스포츠영상촬영 과목을 이수합니다. 각 과목은 자연과학적인 관점에서 사회체육을 이해하고 스포츠 영상 촬영 기술을 학습합니다.

 

4학년 1학기에는 또한 대학원연계수업 인문사회과학1과 스포츠와 사회공헌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 과목들은 인문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사회체육을 탐구하고 스포츠와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해 학습합니다.

4학년 1학기에는 또한 야외모험스포츠(계절)와 현장실습(계절)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야외모험스포츠(계절) 과목은 계절 수업으로 야외에서의 모험 스포츠 활동과 안전에 대해 학습합니다. 현장실습(계절) 과목은 계절 수업으로 사회체육 분야의 현장에서의 경험과 실무 능력을 개발합니다.

 

4학년 2학기에는 건강교육론과 대학원연계수업 인문사회과학 2, 대학원연계수업 자연과학 2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각각 건강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고 대학원 연계 수업을 통해 인문사회과학적인 관점과 자연과학적인 관점에서 사회체육을 탐구합니다.

 

4학년 2학기에는 또한 저항운동기능학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  운동과 저항 운동에 대한 기능학적인 이해를 다룹니다.

 

위와 같은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체육학과 학생들은 사회체육의 이론과 실제, 프로그램 운영, 지도 방법론, 스포츠 산업과 사회 공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실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.

 

3. 졸업 후 진로

 

사회체육지도자, 체육행정가, 스포츠공기업 및 체육단체 실무자, 프로스포츠구단 실무자, 글로벌스포츠기업 실무자, 스포츠과학자, 체육시설관리자, 선수 및 재활트레이너, 스포츠마케터, 스포츠 에이전트 등

<함께 읽으면 좋은글>

* 대학입시관련개념 /쉬운설명/ 수시 , 정시~ 가군나군다군/ 여러 전형들

* 대학입시 5등급대학

댓글